오늘은
‘-으로써’와 ‘-으로서’
가 각각 어디에 쓰이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.
으로써 으로서
‘-
로서
’와 ‘-로써‘의 구분은 맞춤법에서 단골로 등장합니다.
그만큼 헷갈리고 여전히 많이 틀린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.
‘-
로서
’는
지위
나
자격
을 나타내고, ‘-
로써
’는
수단
이나
도구
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.
보통 ‘-을 가지고’ ‘-을 써서’로 바꾸어 보아서 말이 되면 ‘-
로써
’를, 나머지는 ‘-
로서
’를 쓰는 것으로 구분합니다.
그리고 ‘올해
로써
’ ‘이
로써
’처럼 시간을 셈할 때 그 한계를 나타내는 데에는 ‘-
로써
’가 쓰입니다.
특히 헷갈리는 부분은
수단, 방법, 도구 같은 단어
가 직접 나올 때입니다.
‘교통수단
으로서
자전거’ ‘관리 수단
으로서
도입’ ‘학습의 도구
로서
그것을 이용하여’와 같은 문장이 나오면
수단, 도구라는 선입견 때문에 ‘-
로써
’를 쓰게 되는데,
잘 생각해 보면 이는 ‘-을 이용하여’의 ‘-
로써
’가 아니라
그것이 가리키는 바를 규정하고 설명하는 것이므로 ‘-
로서
’가 맞습니다.
친환경 교통수단
으로써
자전거 이용을 늘리자. (×)
→ 친환경 교통수단
으로서
자전거 이용을 늘리자. (○)
국민의 한 사람
으로써
(×)
→ 국민의 한 사람
으로서
(○)
부모
로써
책임감을 느낀다. (×)
→ 부모
로서
책임감을 느낀다. (○)
말
로서
천 냥 빚을 갚는다. (×)
→ 말
로써
천 냥 빚을 갚는다. (○)
이
로서
10년째다. (×)
→ 이
로써
10년째다. (○)
2024.03.31 – [분류 전체보기] – 자기계발 자기개발, 뜻과 맞는 표현 알아보기
2024.02.25 – [분류 전체보기] – 빨게, 빨개 어떤 게 맞는 표현일까❓
2023.08.25 – [분류 전체보기] – 법률사무소와 법무법인의 차이점